본문 바로가기

독일 회사 이야기

독일 회사 컴플라이언스 팀 내부통제 매뉴얼을 보고 나서

 

아직 컴플라이언스에 대해 알아갈 것이 무궁무진하다. 우리 회사가 에너지회사이기 때문에 금융기관과도 컴플라이언스 업무 성격이 다르지만 현재 진행중인 조직 변화 (북유럽 국가 중 하나의 정부 소유의 회사가 우리 회사의 주식 과반수를 소유하는 것을 러시아가 허락한 것) 와 에너지 회사이기 때문에 있을 수 있는 여러가지 세계 정세와 관련한 사업적 이슈들 (NS2: Nordstream 2) 이 우리팀 컴플라이언스 업무를 다이나믹하게 만드는 이유이기도 하다. 이때문에 Sanction과 관련된 토픽들이 중요하게 다뤄질 예상이다. 

우리팀에서 이번에 컴플라이언스 매니지먼트 시스템 (CMS: Compliance Management System) 매뉴얼을 만들었다.

이번 매뉴얼을 다음 세가지 토픽에 대한 대답을 내놓을려고 한단다.

- CMS Manual 의 목적

- 매뉴얼 수정에 대한 커뮤니케이션

- CMS Manual 의 요약

그룹 컴플라이언스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골격은 다음 7가지로 나눌 수 있다.

- Compliance Culture 문화

- Compliance Goals 목표

- Compliance Risk Assessment 리스크 평가

- Compliance Program 프로그램

- Compliance Organization 조직

- Compliance Communication, including the training concept -> 커뮤니케이션, 내가 속한 모듈이다.

- Compliance Monitoring and Improvement 모니터링 과 개선

이번 매뉴얼에서는 컴플라이언트한 조직 문화란 무엇인지? 에 답하는 것으로 시작한다.

 

 

지난 해 중반 워크숍에서도 중요하게 다룬 주제이다. 이에 앞서 컴플라이언스 부서가 조직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토론도 하였다. 2020년 우리 부서 목표가 회사에서 롤모델이 됨으로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데 기여하자는 것이였다. 그러고보니 우리 팀 모토도 살아있는 무결성 원칙을 강조한 Living Integrity: Compliance 이지 않았나. 이렇게 보고나니 누군가의 롤모델이 될 생각까지 하면서 회사생활을 하는 사람들로 둘러싸여 있다니. 새삼 참 새롭게 느껴지는 동료들의 마인드이다.

컴플라이언스 조직 문화는 Tone from the Top (일종의 스폰서십으로 위에서부터 내려오는 메세지부터 컴플라이언트해야 밑에 있는 사람들이 안정적이게 그 메세지를 실행하는데 거리낌이 적어지게 된다.) 를 위한 윤리강령 Code of Conduct에 실리는 임원들의 선언문과 컴플라이언스 데이에 임원들의 방문으로 컴플라이언스 컬쳐를 도모하는데 지지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일종의 스폰서십같은 것이다. 한편 각 팀원들이 양질의 조언을 할 수 있도록 각종 웹세미나, 트레이닝과 회의에 참석하는 것을 장려하고 있다.

컴플라이언스 팀의 목표수립에 가장 중요한 차트는 다음이 아닐까

Risk Assessment ->Roadmap -> Goals -> Task list&Milestones -> Team allocation -> Monitoring&Improvement

우리팀에서 다루고 있는 리스크 의 영역은 다음과 같다

 

돈세탁 Money Laundering

기부와 스폰서Donations and Sponsoring

수출 규제 Export control

사기 Fraud

초대, 선물, 접대 (뇌물과 관련한 리스크로 본다)Gifts and Hospitality

중계상 Intermediaries

금수조치, 제재Sanctions

이 매뉴얼은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장수가 97장이나 되는 장황한 매뉴얼인데 솔직히 읽으면서 우리팀에서 이런 업무도 하는구나 하는 부분도 있었다. 작년에 우리팀에서 의견이 나온 것이 서로 뭐하는지 팀 미팅때 시간을 조금 할애해서 각자 발표하기로 한것을 대체한 매뉴얼인데, 각자 하는 업무를 파악하면 뭔가 앞으로 업무시 더 시너지 효과가 나오지 않을까 해서 마련한 것이다. 솔직히 자기일하기도 바쁜데 남이 뭐하는지까지 업무시간중 파악하기는 무리가 있었던지라 앞으로 업뎃만 계속 꾸준히 해준다면 우리팀의 좋은 길잡이 역할을 할 것같은 문서이다. 이 문서를 읽고 작년에 내가 하던 리포팅 업무와 우리팀에서 감사팀이랑 진행하는 업무에서 컴플라이언스 팀의 역할이 무엇인지 큰 그림을 보게 도어 개인적으로 큰 수확이 있었던 것 같다.